빅커넥터즈
묵은G
비디오 가게에 방문한 고객의 요구에 맞춰 비디오를 추천해 주는 타이쿤 스타일 게임. 현재로서는 게임에 살이 붙지 않은 날것의 느낌이다. 고객에게 어떤 비디오를 추천하냐에 따라 평판이 달라진다. 현재로서는 딱히 평판 때문에 불이익을 얻거나 하는 시스템은 없다. 인터페이스도 아직 날것이라, 직관적이지 않고 다소 불편한 느낌이 많다. 특히 비디오를 고를 때 좌우 스크롤을 해서 찾게 만든 것은 다소 당혹스러운 부분. 안내가 없으면 알아볼 수 없는 디자인이 너무 많기에, 앞으로는 좀 더 디자인보다는 직관성에 신경 써서 게임을 개발해 나갔으면 한다.
고객의 요구가 무척 막연한 탓에 '좋은 피자, 위대한 피자'가 많이 떠오른다. 하지만 판정은 정말 까다로워서, 얼추 근사치까지 맞춰도 평판이 칼 같이 깎여나간다. 문제는 고객의 요구 뿐만 아니라 비디오 설명 문구 또한 막연하다는 점이다. 현재로서는 페널티가 없지만, 만약 페널티 시스템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여러모로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때로는 플레이어에게 '내가 더 잘하면 지금보다 더 좋은 보상을 받을 수 있겠지'라는 희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고 '맞추지 못했으니 페널티를 받을 수밖에 없지'라는 자세로 나간다면, 너무 엄격한 판정 때문에 게임을 이어갈 동력을 잃기 쉽다. 아직 나아갈 길이 먼 듯 하니, 게임에 살을 덧붙이는 동안 고려했으면 한다.
빅커넥터즈
인티
이런 류 게임에서 가장 성공을 한 예시가 "커피톡" 과 "발할라" 라 생각합니다.
두 게임의 공통점은 매력있는 스토리라인,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이야기입니다.
지금 이 게임은 아쉽게도 아직 그 둘 중 아무것도 만족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좀 더 내용이 생기고 그들의 이야기가 생기면 충분히 매력적인 게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빅커넥터즈
베칸
처음 시작할때 주어지는 비디오의 양은 많고 인게임으로써 주어지는 정보는 부족합니다.
간단하게 튜토리얼부터 시작해서 하나의 루틴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플레이어에게 어느 정도 알려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많은 종류의 비디오보다는 적은 종류의 비디오(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5개 정도?)로 시작해서, 주인공이 비디오를 추천해드리는 과정을 익숙하게 전달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각 비디오를 얻을 때마다 간단하게 요약된 설명을 제공해서, 비디오를 얻는 시점에서 플레이어가 "아 이 비디오는 이런 느낌의 비디오구나!"라는 느낌을 바로 받을 수 있는 상황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컨셉 자체는 좋지만 핵심적인 게임플레이에서는 '좋은 피자 위대한 피자'와 굉장히 유사한 느낌을 줍니다.
스토리를 가미시켜서 스토리에 요구사항을 녹여내도 좋고, 고객들의 심리를 파고드는 미니게임을 해도 좋으니 부디 이 게임의 매력을 보여줄 수 있는 게임플레이가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오랜 시간동안 잘 다듬어서 좋은 게임으로 뵐 수 있길 바랍니다.
빅커넥터즈
이찬희
비디오 가게의 주인이 되어, 손님들의 요구사항에 딱 맞는 영화를 추천해주는 큐레이팅 게임입니다.
아쉽습니다.
게임의 분위기도 너무 좋고, 제 자신도 영화를 꽤 좋아하는 편이기에, 정작 제 두뇌의 한계로 영화를 깊게 이해하고 다른 누군가에게 추천하는데엔 어려움이 있지만, 그렇기에 이런 큐레이팅을 체험해볼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너무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다만,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주어지는 영화의 양이 지나치게 많습니다.
영화를 큐레이팅 하기 위해선 영화의 내용을 잘 알아야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영화의 내용이 좀 더 자세하게 서술되었으면 좋겠고, 이 영화를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을 여유롭게 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라는 생각입니다.
또, 손님들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없습니다.
지금은 무작위로 정해진 답이 있고, 그 영화를 손님의 요구사항에 맞추는 것으로만 보입니다. 이런 손님들에게 개인적인 이야기를 부여해 게임을 좀 더 풍성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마지막으로, 비디오를 구매하기 전에 영화의 내용이 어떤지 미리 확인해봤으면 합니다.
영화 내용에 대한 학습 기회를 구매 전후에 한번씩 주는 느낌이 되지 않을까요?
진짜 마지막으로, 평판은 영어로 Reputation입니다. 현재는 r이 하나 더 들어가 Repurtation이라고 기술되어있습니다.
빅커넥터즈
서준완
[2025BIC]고전풍 느긋하게 비디오방 운영하는 도트 게임. 손님들이 원하는 장르/스토리의 영화를 찾아줘서 손님들 만족시켜야 한다. 기본 난이도는 안 어려운데, 계속되는 반복작업, 비디오의 줄거리/특성에 대해 기억하고 있어야 해서 지루한 점은 있음. 아직 게임의 "목적성"이 없어서 얼마나 이 게임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시간 많으신분만 한번 고민해보세요.
게이머
박은지
전체적인 게임의 컬러 톤이나 도트, 노래 감성이 좋았습니다. 앞으로의 개선이 있겠지만 처음에 영화 목록이 마우스 휠이라는 걸 인지하기 어려워서 영화가 6개만 가능한 줄 오해했습니다. 듀토리얼이 있거나 화살표 그림을 눌렸을때 옆으로 가는것도 괜찮을것 같아요. 처음에 화살표 아이콘이 클릭가능한걸로 오해했어요. 그리고 하나의 영화를 열면 다른 영화를 열기위해서 두번 클릭하는게 복잡한것 같아서 한번에 다른 영화를 열게 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정산 시에 글자가 전반적으로 커지면 좋을것 같아요. 숫자는 괜찮은데 한글은 읽기 힘들게 작은것 같습니다. 그리고 진짜 컴퓨터 창 처럼 크기조절이나 이동의 자유가 있으면 좋을것 같아요. 게임 도중에 멈춤이나 옵션 키를 알수 없어서 당황했습니다. 컨텐츠를 채우고 아트 밀도를 높이면 좋은 게임이 될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게이머
서민구
매력적인 스토리와 인물이라는 살을 붙이면 좋은 게임이 될 것 같습니다
살을 붙이는 과정이야 추가하면 된다 생각하지만, 살이 없는 뼈대만 보았을 때도 개선 여지는 많아 보입니다
대화를 다시 볼 수 있는 '대화 로그' 기능이나, 대여가 가능한 비디오 목록의 가시성, 의미 없는 선택지 등의 아쉬운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컴퓨터 화면에서 이루어지는 비디오 구매, 인테리어, 포스기 형식의 하루 영업 결과 등, 구현된 시스템들이 왜' 이러한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설득력이 부족해 보입니다.
게이머
브리삭
옛날의 어느 날로 돌아간 것 같은 아련함 즐거움이 있네요. 비디오 가게 가던 시절이 그립습니다
빅커넥터즈
곽민채
무던하게 플레이하기 좋은 게임입니다.
다만 게임의 명확한 목적성과 손님 개개인의 사연이나 개성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빅커넥터즈
이예지
게임자체는 즐겁지만 매일 똑같은 플레이가 지루할 수 있을 듯합니다. 오래 플레이가 힘들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