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커넥트 소식

인디게임소개

BIC 2024 AWARDS
BIC2024 수상작을 만나보세요!
BIC 2024 수상작
ㅓ

개발자픽

2024 DEVELOPER's PICK
game-img
game-img
  • PC
  • CONSOLE
SULFUR
Perfect Random
SULFUR는 현대적인 올드 스쿨 액션 어드벤처 게임입니다. 적을 능가하고 보물을 찾고 무
자세히보기
게이머
김은섭
이 게임을 하면서 그래픽적 요소를 많이 건드렸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총 자국이 남는 것과 캐릭터들의 죽음 또한 아이템들이 조합되었을때 분명 오류가 굉장히 많이 일어 났을 건데 그걸 해결하고 나온 이 겜은 저에게 재미를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파밍의 재미를 느끼고 싶은데 스트레스도 같이 풀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 게임을 추천합니다
게이머
김창엽
[ 루터 슈터 ] [ 총평 ■■□□□ ] * 던전을 점점 내려가며 적들과 싸우며 재화를 모으고 장비를 성장시키는 게임 * 층마다 비슷한 구조, 똑같은 방이 많아 게임이 쉽게 단조로워지고 적이나 무기마다 개성이 부족하며 타격감이 떨어지는 편 * 전투 템포가 느려 긴박감이 잘 느껴지지 않으며 아이템의 시인성이 나빠 오브젝트인지 파밍 가능한 아이템인지 구별되지 않음
게이머
이수용
사망시 보유하고 있는 전부를 잃는(위로금 명목으로 골드를 주긴 하지만)게임에 보관함까지 따로 있는게 캐주얼한 그래픽의 타르코프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총기에 마법세팅과 부착물등 오래 플레이 하다보면 세팅할 맛 날것 같네요.
게이머
쿠라그
탐험하고 파밍하는 재미가 있어서 좋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지도 같은 게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재밌었어요
게이머
김민경
Everything is cool except bunch of korean translations impossible to understand... enemies are buried underground when I keep hitting them after they died( though I'm not sure they were really dead) 기본적인 미션이 있지만 맵도 상당히 넓고 수집해서 조합하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심지어 지금 어디를 볼지도 플레이어의 마음대로 정할 수 있네요. 다만 자유도가 높다보니 이게 제대로 가고 있는 게 맞긴 한 건지 확인할 길이 없어 살짝 막막하긴 합니다. 무기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무기는 버리는 방식이 많은데 이 작품은 총도 칼도 놓치지 않는 게 매력입니다.
게이머
신윤우
둠 같은 느낌이 납니다! 간단한 그래픽처럼 보여도 총기개조에 이펙트까지 온갖걸 다살려놓은게 대단합니다!
게이머
박형락
스타일리쉬한 FPS 게임으로 호쾌한 액션씬이 가미되어 있으면서 인벤토리 시스템으로 아이템을 수집하고 조합할 수 있으면서 랭크업해가는 로그라이트 요소도 있음. 무기 파츠를 수정하면서 자신의 총기 취향을 반영하는 부분은 흥미 있었음.
게이머
최진
어두운 분위기를 귀여운 그래픽으로 완화시켜주는 쁘띠 루터슈터 게임 필드의 오브젝트들 중에서 상호작용이 가능한 것과, 단순히 장식인 것의 구분이 잘 되지 않는 것이 아쉬웠다.
게이머
이창환
굉장히 고퀄리티의 그래픽으로 플레이어를 사로잡는 마성의 게임! 플레이 하다보면 시간가는줄 모르고 플레이하게 만드는 게임!
게이머
김세진
귀여운 FPS 게임인가 싶었지만, 생각보다 어두운 분위기에 긴장감도 있는 게임이었습니다. 무기 강화 시스템 등의 성장 요소는 좋았지만, 상호작용이 가능한 아이템을 알아보기 힘든 점 등의 게임 UI나 이펙트에 있어서 아쉬운 점들이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어 번역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이 게임만의 색이 뚜렷하다고 생각해서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game-img
game-img
  • PC
BEAT STAR
DIY
.
자세히보기
게이머
임산하
"뮤즈 대시" 표절 게임 영감을 받아서 뮤즈대쉬-라이크를 만들었다고 하기엔 게임 플레이, 수록곡, 피버음, 전반적인 UI 등등 똑같은 요소가 너무 많아서 '보고 베꼈다.'라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 나름 차별점을 두기 위해 3라인, 중간 판정선, 연타 패턴 시스템을 바꾸긴 했지만, 단점밖에 보이지 않음. 그래도 직접 그린 일러스트와 캐릭터 도트 등 아트는 괜찮았음. 고등학생 2명이 특정 게임을 이 정도로 유사하게 구현해 낼 수 있는 실력은 박수 쳐주고 싶지만, 게임 행사 출품작, 그것도 경쟁 부문으로 나오기엔 부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게이머
김태윤
고등학교 학생이시니깐, 아직 부족하다 생각하기에 선배 개발자의 시점에서 리뷰를 작성하겠습니다. 학생들이 리듬게임을 하는지 안하는지는 모르겠는데, 라이트한 리듬게임과 매니아층을 위한 리듬게임에는 어느정도의 노선을 가져야 한다 생각합니다. 라이트한 리듬게임을 위해서는 대중성, 접근하기 쉬운 난이도, 직관적인 게임 환경이 필요할 것이고, 매니아층을 위해서면 도전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면서, 자신의 박자감각과 게임에서 정확하게 입력되었음을 확인하는 판정을 조절하고, 100%에 도달하기 위하여 플레이를 하겠죠. 저는 이 게임을 느꼈을 때, 위에 대한 깊은 고민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저 이펙트를 떡칠해서 나 이런 기능 이런 이펙트 이런 모션 넣을 줄 알아요 자랑하는 느낌도 받았고, 캐릭터 잘 뽑아서 캐릭터랑 아트빨로 개발력이나 최적화 이슈등을 얼버무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나쁜 어른들이 내는 그런 게임이 되면 어쩌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UXUI를 한번이라도 주변 친구들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인디게임 행사 출품하기 전에 검증 받아보셨는지 궁금합니다. 이 부분에서 특히 느낀점은, 게임을 끄는 방법이 없다는 것 입니다. 물론 빌드 단계에서는 개발하는 중이다, 유저 테스트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별로 없었다 이렇게 넘어갈 수 있지만, 그러한 세심한 배려와 생각들이 유저가 플레이를 하면서 좋은 경험과 인식을 가지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게임성이야 잘 알려진 게임을 비슷하게 섞고 바꿔서 한 거라 까일건 없을거고, 리듬게임이라는 장르 특성상 노트 채보와 악곡 추가에 대한 고민이 깊다 생각하는데, 이 게임이 스팀이나 스토브 스토어에 올라갔을 때 이러한 이슈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궁금합니다. 게임 개발자는 어쩌면, 게임의 부모님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생각하기에 본인이 만든 게임에 애정이 있어야 한다 생각합니다. 제가 이 게임을 플레이 할 때는, 보여주기식 포트폴리오 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런 부분이 맞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오프라인 행사에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게이머
조민준
일단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 페X페X사의 특정 게임의 느낌이 물씬 났습니다. 처음에 튜토리얼을 시작할 때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길게 짜놓은 부분이 있었겠지만 튜토리얼 스킵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었고, 튜토리얼을 진행 하는 동안 플레이어가 가르침을 받는 방도로 진행이 되어 즐길 거리가 없었기에 매우 지루하게 느껴졌고 아쉬웠습니다. 또한 Q W E 키를 이용해 공격하는 것과 총을 쏘는 듯한 타격 모션등이 이 게임이 리듬게임 또는 슈팅 게임으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장점 거리중 하나라고 생각하던 찰나에, 스킬 언급과 괴상한 노트들, 아직 개발 단계 중이시겠지만 플레이 되지 않는 곡들... 고쳐야 할 문제들이 너무 많다고 봅니다. 어떻게든 특정 '그 게임'을 모방한 티를 벗어나려고 노력 하신 모양인데, 아마... 그것 때문에 발목을 잡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게이머
김민경
비슷하다는 말로 넘어가기에는 참고했을 것으로 보이는 유명 작품과의 차이점이 크게 두드러지지 않아 아쉬웠습니다. 기본적인 컨셉부터 색감, UI, 게임 내 삽입된 효과음까지 게임에 활용된 대부분의 요소가 레퍼런스에 과하게 기대고 있다는 인상을 주는데 비해 플레이 화면에 등장하는 도트 캐릭터에서는 어느 정도의 오리지널리티가 보여서 더 아쉽네요.
게이머
이창민
- 상단의 가늠쇠를 통해 타이밍을 알려주는 부분이 돋보였습니다. - 판정 타이밍이 중간에 있어서 공격을 못할경우 적이 판정선을 지나치는데 이때 무조건 틀려야한다는 불쾌함이 있었습니다. - 3개의 라인이 게임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그렇게까지 돋보이는 재미는 없었습니다.
게이머
이수용
['lyalya'라는 곡은 채보가 미완성입니다.] 태고의 달인, 뮤즈대쉬와 같은 횡스크롤형 리듬게임입니다. Q,W,E 세 라인에서 몰려오는 노트들을 처리해야 합니다. 두 라인 동시처리, 세 라인 롱노트 처리와 같은 노트 종류가 있습니다만 동시처리 노트의 경우 첫 번째 곡에서는 가시성이 썩 좋은 형태는 아니었습니다. 이런 라인 수가 적은 리듬게임에서는 같은 라인을 처리하는 다른 버튼이 존재해서 8비트나 16비트 연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런 편의성은 없어서 아쉽습니다. 아트와 프로그래밍 두 명에서 만든 게임이라 그런지 뮤즈대쉬라는 레퍼런스가 UI나 UX등에서 너무 명확하게 보여 미술학원에서 소묘 시킨 것을 보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조금 더 오리지널리티를 추가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했으면 합니다.
게이머
이찬희
눈이 꽤 즐거운 리듬게임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데모에는 2개의 곡과 1개의 미완성 채보만 존재하고, 2개 키 동시 입력 기믹, 3개 모든 키 연타 기믹, 스태미나 등에 관한 게임 내 정보 안내가 상당히 미흡합니다. 게임 내에 숨겨져있는 안내를 통해 키 입력하는 기믹은 알아냈지만, 나머지는 알기가 힘들어요... 적들이 어느정도 겹쳤을 때 적들만 봐서는 몇 번 연타해야하는지 알기도 힘들었구요. 이를 위해 위에 색깔로 구분한 노트가 같이 움직이긴 하지만, 아쉬운건 여전합니다. 저작권은 괜찮나요? 또, Nitro Fun의 Final Boss가 아니고 New Game이라는 곡이었던 것 같습니다. 게임 자체가 나빴다는 뜻이 아닙니다.
게이머
김창엽
[ 리듬 액션 ] [ 총평 ■■■□□ ] * 노드 라인이 1개 더 추가된 ‘Muse Dash’ 류 리듬 액션 게임 * 여러모로 레퍼런스 한 구석이 많아보임. 이 게임만의 특징이 없다는 점은 매우 아쉬운 편. * 그래도 노드 타격감이나 연출은 무난한 편이고 사운드 트랙도 나쁘지만은 않음
게이머
바닐라라떼마니아
오프라인 페스티벌에서 직접 해봤는데 키보드로 하는게 더 플레이가 편할거같아요 (오프라인기준) 재밌긴했어요 ! 죽어서그렇지..ㅠㅠ
게이머
김민찬
'Muse Dash'와 매우 비슷하다. 라인이 몇개 추가된 것 외에는 차별점도 별로 없다.
game-img
game-img
  • PC
에저 '88
비아 스튜디오
"움직임과 속도의 즐거움을 생동감 있게 표현한 빠른 템포의 2D 플랫폼 게임, 에저88"
자세히보기
게이머
JINO
가볍고 속도감 넘치는 액션과 다양한 움직임 옵션이 결합되어 경쾌한 느낌을 주는 게임입니다. 깔끔한 비주얼 스타일과 유쾌한 사운드트랙이 게임의 활기찬 분위기를 한층 더 끌어올려 주는 것 같습니다. 첫 레벨만으로도 이 게임이 얼마나 깊이 있는 도전과 재미를 담고 있는지 느낄 수 있었고, 앞으로의 업데이트가 더욱 기대됩니다. 빠른 템포의 게임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게이머
카골드 컴퍼니
리듬감이 환상적이고, 속도감이 좋아요!!!
게이머
이수용
스마트폰 초창기에 자주 볼 수 있었던 러닝액션게임이라니 정겹네요. 속도감이 잘 느껴지고 노래도 청량하니 좋습니다. 'destruction!' 이 부분 표기까지 도달할 때 이미 속도가 너무 빨라서 그런지 제대로 확인이 안되서 사물을 부셔도 되는건가 긴가민가했었습니다. (물론 플레이 하면서 부수는게 맞다는걸 체감했지만) 짧지만 인상 깊었습니다. 좋네요.
게이머
신윤우
압도적인 속도감과 청량한 화면 신나는 음악의 3박자 한여름 땡볕을 돌아다니다 그늘에서 마시는 사이다같은 시원한 게임입니다. 누구든 달리기 시작하는 순간 속도에 매료될거라 생각합니다!
게이머
권민규
굉장히 속도감 있는 횡 스크롤 롤러블레이드(?) 게임입니다!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어떻게든 속도를 줄이지 않도록 노력하는 게임같습니다 다만 속도가 너무 빨라서일까요? 가끔 카메라가 캐릭터를 놓쳐버리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프를 하지 않았는데도 위쪽칸으로 자동적으로 올라가지면서 진행이 되는게 사실 내가 컨트롤하는 것에 의미가 있나?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앞으로 나올 장애물이 어떤게 있을지 알 수 없으니 내가 할 수 있는 부분도 적은 것 같아 재미가 크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잘 다듬으면 정말 재미있는 제 2의 소닉과 같은 게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응원합니다!
게이머
이찬희
소닉이 스케이트를 탄 플랫포머 게임이 된다면, 바로 이 게임입니다. 이런 종류의 게임을 해본 적이 없어서 속도에 압도됐습니다. 이것 저것 다 부수면서 눈이 주체 못할 정도로 빠르게 달리는 게임이 이토록 즐거울 줄은 몰랐습니다. 속도가 빨라질 수록 레터박스가 커져서 점점 더 캐릭터의 액션에 몰입하게 됐구요. 이게 바로 액션 쾌감일까요? 아닌가요? 다만, 캐릭터가 화면 밖으로 나갔을 때 가로로 어디에 위치해있는지 알려주는 인디케이터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게이머
이주형
가볍개 즐길 수 있게 설게되었지만 도전할 거리를 중간중간 채워 넣으면 좋겠다는 바람입니다. 아직까진 청량한데 시간이 지날수록 김빠진 탄산음료가 되니 중간중간 조미료가 필요합니디.
게이머
최지훈
횡스크롤 러너, 입 벌리면서 했다. 데모에서는 한 스테이지만을 보여주며 플레이타임은 빠르면 5분컷이다. 꽤 재밌게 했지만 욕심내서 뭔가 더 해줬으면 싶다라는 걸 써보자면, 카메라 뷰 사이즈를 구간마다 정해줬음 좋겠다. 연출적 요소가 들어감과 동시에 어떠한 구간에 대한 인지를 명확히 시야 확보가 되기 때문. 구간마다의 난이도를 패턴을 구성하고 하이라이트 구간을 스테이지마다 하나 둘 심어줬음 좋겠다. 이건 이미 들어간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위와 같은 구성이 러너 장르의 재미와 직관되었기 때문. 중간지점 세이브를 세워주면 좋겠다. 실패가 이어지고 처음부터 계속 시작하면 피로감이 상당히 들고 러너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
게이머
황재진
전체적으로 속도감이 잘 느껴져서 재밌게 플레이했습니다. 올리올리 월드를 플레이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플레이 중간중간 나오는 오브젝트를 부수는 타격감도 좋았습니다. 레벨디자인 또한 준수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스테이지를 진행하다 보면 레일 끝보다는 그 이전에서 점프해야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이나, 그 이후 경로가 점수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게 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런 부분은 한두번의 플레이 말고 반복적인 플레이를 통해 파악해야 하합니다. 반복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레벨이 구성되어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완벽하지는 않았습니다. 스테이지 중간에 레일을 타지 못하면 낙사하는 구간이 있는데, 거기서 잘못 점프하게 되면 그대로 낙사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 때 점프를 하며 레일이 잘 보이지 않아 레벨을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렇게 레벨 구성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는 줄어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외에도 디테일적인 부분에서 아쉬운 점들이 보였습니다. - 화면 밖으로 플레이어가 나가게 되는 경우 플레이어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기 어려웠습니다. 화면 밖으로 나갔을 때에도 플레이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UI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파란 화살표로 스피드업 되는 구간에서 뒤에 트레일 효과가 생기는 것 외에는 빨라졌다는 느낌이 덜했습니다. 거기에 스피드업 시 일시적으로 카메라가 캐릭터보다 앞에 위치하게 되어 트레일도 잘 보이지 않습니다. 빨라진 속도감을 표현할 수 있는 무언가가 추가적으로 필요해보였습니다. 이외에도 아직 물리 버그나 경사면이 가끔 바로 타지지 않는 문제와 같이 자잘한 버그가 있었습니다.
게이머
김민경
엄청 빠르고 짧은만큼 가볍게 즐기기 좋습니다. 속도감이 좋아서 타임 어택이나 스피드런 경쟁을 붙여도 재밌을 것 같네요. 모바일 버전으로도 출시된다면 버스 막힐 때마다 이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전방 장애물에 대한 경고메시지가 현재는 진행방향의 상단에 위치하여 가시성이 다소 떨어지는 편인데 화면 중앙에 알아보기 쉽게 표시하는 방향도 고려해주셨으면 합니다.
game-img
game-img
  • PC
  • MOBILE
레트로 어비스 : 게임의 마지막 소원
벤 빅 게임 스튜디오
낭만이 흘러넘치는 특별한 레트로 액션 게임
자세히보기
게이머
다올 게임즈
PC판으로 진행했고 게임 재미있습니다. 보스전 데모판으로 딱 하이라이트만 플레이 할 수 있었어서 더 좋았어요. 나중에 스토리를 진행할 때 나올 탐험 요소나 플레이어 성장 요소 등이 기대됩니다. 다만, PC버전 기준으로 A, D로 플레이어 캐릭터를 움직이다 보니 스킬 단축기가 Q,W,E,R이어서 좀 불편했습니다.
게이머
이찬희
YES! 우리가 사랑했던 게임들에 대한 찬란하고도 아름다운 여정이 있는 게임입니다! 처음에는 "이게 보스 맛집? 왜? 너무 쉬운데?" 라는 생각이 들었고, 리뷰는 작성해야하기에 엔딩을 봐야겠다는 생각으로 플레이를 했습니다. 물론 그 과정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아니, 즐거웠습니다. 끝인 줄 알았던 여정에서 다음 여정이 더 있고, 이야기가 밝혀지고, 새로운 캐릭터가 해금되고, 새로운 파워업이 해금되고- 게임을 켰던 오후 10시부터 현재 12시 26분까지 미친듯한 몰입감을 선사했던 게임입니다! 각 캐릭터의 개성이 굉장히 뛰어나 9개의 클래스 중 자신의 손에 맞는 캐릭터를 찾아가는 과정도 재밌었고, 이를 위해 상당히 많은 시스템적 배려도 있었습니다! 과거 20세기의 게임에서 자주 봤을법 한(스페이스 인베이더 같은 게임이요!) 적들과, 게임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만한 게임에 대한 개인적인 추억과 10년 전, 어린 시절 자그마한 손으로는 클리어하지 못했던 게임이 다시 생각나 돌아온 10년 후의 꼬맹이를 위한 치유, 연출, 보스 디자인, 플레이어블 캐릭터 디자인, 전투 디자인 어느 하나 모자람 없이 완벽한 게임입니다! 모든 플레이어가 순탄하게 플레이 하실 순 없을 겁니다. 전투가 너무 어려울 수도 있고, 10년 후의 꼬맹이에겐 너무 쉽게 느껴질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1차적으로 "과거에 클리어하지 못했던 게임에 다시 돌아와 레트로 어비스라는 게임을 클리어한다"라는 과정을 끝까지 밟으시면, 그 앞에 펼쳐질 깊고 어둡겠지만 찬란하고 아름다운 여정이 기다리고 있을 것입니다! 이번 BIC Must Play로 자신있게 추천 드립니다! 추신: 스팀에서 3천원밖에 안해요. 얼리 액세스는 절대로 구매하지 않는 개인적인 규칙이 있는데, 이를 깨고 구매할 정도로 비정상적인 착한 가격과 재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스팀 페이지를 한번 확인해보세요! 아무튼 정식 버전 나올 때 까지 기다리겠습니다!
게이머
안승준
모바일 환경으로만 플레이하여서 이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스테이지는 거의 보스와의 대결로만 이루어져 있고 조작감은 답답하지만 제한 없는 슬로 모션 덕분에 어렵지 않았습니다. 모든 액션들은 터치 앤 드래그 형식이라 컨트롤이 불편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래도 게임 컨셉과 플레이 자체는 재미있어서 나중에 pc로도 플레이 할 예정입니다! 정말 재밌네요!
게이머
신윤우
옛날에 어렵던 일은 지금도 어렵다는걸 느꼈습니다 느릿느릿한 움직임 때문에 아슬아슬하게 피하는 맛이있었습니다! 손가락에 쥐날정도로 연타를 누르며 심연속 과거의 목표에 마침표를 찍어줍시다
게이머
이주형
둥둥 떠다니며 적들에게 무력을 행사하는 게임입니다. 로그라이트 하게 클리어 하면 스킬 선택하는 창도 있고요, 아직은 파란 연안인데 심해는 얼마나 어둡고 붉을까요?
게이머
최지훈
둥둥 떠다니며 스테이지를 클리어해나가는 그런... 횡스크롤 슈팅게임. 근데 뭔가 더 있네...? 캐릭터 하나 깨고 나니 드러나는 다른 옵션들. 심연은 얼마나 깊을까
게이머
김민경
모바일과 PC 모두 파일이 없음으로 떠서 스팀으로 구매하여 플레이해보았습니다. BIC에 올라온 데모빌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곱번째 스테이지까지 플레이해 본 결과 구매가 아깝지 않은 작품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스테이지가 여덟 개 남았으니 거의 절반쯤 온 셈인데 게임 구매 후 플레이 시작해서 현재까지 플레이한 걸 봐서는 쉽게 질리지도 않을 것 같네요. 게임 자체는 일반적인 슈팅 장르보다는 문방구에서 3천원 하던 링토스 게임기 (플라스틱 안에 액체가 들어 있고 아래에서 버튼을 눌러 부력을 이용해 고리를 막대에 거는 것이 목표인 게임기)에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적당히 띄워서 어디 안 부딛히게 조절하는 게 관건인 것 같은데 이게 생각보다 힘조절이 잘 안돼서 더 재밌습니다!
게이머
이수용
보스전만 맛봐서 스토리적인 요소는 편린만 보였는데 스크립트가 감성을 자극하는 느낌이긴 하네요. 보스가 어렵긴 한데 못깰 정도는 아니었고 가디언이랑 힐러가 좋아서 해금 하고는 쉽게 깼습니다. 적이나 오브젝트들이 옛날감성이라 친근하게 다가왔습니다.
게이머
김창엽
[ 액션 플랫포머 ] [ 총평 ■■□□□ ] * 물 속의 캐릭터를 조작하여 진행되는 보스 러쉬 게임 * 스킬을 쓰는 맛은 있으나 기본적인 공격 방식이 불편하며 각 기술마다 별 차이가 없어 게임이 단조롭게 느껴짐 * 보스 패턴들이 다양한 플레이를 유도하지 못해 아쉽게 다가옴
game-img
game-img
  • PC
Slay the Alice
스즈미하라
여기는 무서운 식물의 나라. 싸울 수없는 로그 라이크 스타일 유메 카와 공포.
자세히보기
게이머
김창엽
[ 텍스트 어드벤처 ] [ 총평 ■■□□□ ]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모티브로 한 쯔꾸르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 * 짧은 플레이 속 다양한 분기 및 엔딩이 있고 스토리를 중요시하지만 자동 번역인건지 맥락 이해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음
게이머
이수용
그래도 버전 업그레이드를 통해 한국어 지원(기계번역이지만)이 되어서 좋았습니다. 'slay the' 라는 말이 들어가 있어 그런가 노드형 진행이 slay the spire와 같습니다. 그러나 전투가 비슷하다기 보단 주로 이벤트를 진행하는 방식이 비슷합니다.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여 엔딩을 수집하는 게임입니다. 한 권의 게임북을 플레이한 것 같네요. 재밌었습니다.
게이머
쿠라그
스토리랑 컨셉이 짧게 즐기기 아주 좋아보이는데 번역이 너무 아쉽네요
게이머
최요한
확실히 번역만 잘 되면 좋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생기는 게임입니다. 좀 더 다듬으면 좋은 게임이 될 것 같습니다.
게이머
천가은
몇 년 전 많이 본 듯한 일본 잔혹동화 쯔꾸르 게임 느낌. 도트가 상당히 예쁘다. 아트 컨셉이 잘 짜여있다. 하지만 처음에 게임의 장르가 뭔지 감을 잡을 수 없었다. 수치에 대한 설명도 하나 없이 시작하고, 슬레이 더 스파이어 형식으로 재화를 모아 보스와 싸우는 건 줄 알았는데 정말 잃기만 하고 이득이 없는 선택지가 있지를 않나, 이벤트가 잔뜩 들어있기만 한 느낌에 스토리를 잘 못 따라갔다. 마지막에 엔딩이라는 걸 보고 아, 엔딩 모으는 게임이구나 알게 되었다. 현 데모 상태의 컨셉, 아트, 음악 등은 상당히 좋다. 그러나 정식으로 시장에 출시를 한다고 하면... 스토리의 양이든 질이든 더 손을 봐야 할 것 같다. 좋은 컨셉이 컨셉으로만 끝나지 않고 게임으로 잘 완성되길 바란다.
게이머
박하빈
앨리스가 귀엽지만 오히려 캐릭터가 귀여워서 스토리의 잔혹한 부분이 더 극대화 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저는 번역의 말투가 어색하다고 생각되어 일본어를 할 줄 아시는 분이라면 일본어로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게이머
김세진
따뜻하고 귀여운 도트 그래픽이지만 점점 잔혹동화 같은 싸한 느낌이 들어 놀랐습니다. 여러 이벤트와 선택을 통해 체력과 자원을 관리해야 하는데, 데모 버전은 짧아서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도 클리어 했습니다. 한국어 번역은 기계번역인 듯한데, 아주 못할 건 아니지만 오역이나 인물들의 어조가 바뀌는 점이 아쉽습니다. 친숙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이지만, 이 게임만의 어두운 느낌이 정말 마음에 들어서 정식 발매가 기대됩니다. -- 温かくて可愛いドット絵かとおもいきや、だんだん不気味な雰囲気が漂ってきてビックリしました。 いろんなイベントと選択から体力などを管理し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すが、今回のデモバージョンは短めであまり気にしなくてもクリアできました。韓国語の翻訳は翻訳機をお使いになったのかと思いますが、大体の情報は伝わるけどキャラクターの口調が変わったり、誤訳があったりして残念でした。 親しみのある「不思議の国のアリス」ですが、このゲームならではのちょっとした暗い雰囲気がとても好きで正式発売が楽しみです。
게이머
최진
귀여운 도트 그래픽 처음에는 유명 덱빌딩 로그라이크 게임의 맵 구조와 비슷해서 그런 장르인 줄 알았는데, 선택지를 골라서 멀티 엔딩을 수집하는, 일종의 TRPG 같은 게임이었다. TRPG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정식 출시가 매우 기대되는 게임.
게이머
이창민
- 도트 그래픽이 아주 뛰어나고 게임에 몰입감 있게 잘 표현했습니다. - 스토리를 풀어서 진행하는 로그라이크 방식이 인상깊었습니다. - 정식출시가 되어 다양한 멀티엔딩을 보고 싶을 정도로 잘 만들었습니다.
게이머
함석현
귀여운 도트 그래픽과 잔혹동화같은 스토리가 흥미로운 게임이었습니다. 짧은 여행길을 지나 여러 엔딩을 컬렉트하는 게임입니다. 애초에 플레이타임이 짧은 게임이긴 하지만 엔딩에 대한 힌트가 하나도 없어 랜덤성이 짙은 상황에서 다른 엔딩을 찾기가 살짝 힘들었습니다. 이 점 외에는 마음에 들어 즐겁게 플레이했습니다.
game-img
game-img
  • PC
스파키를 구해라
스파키 스튜디오
되찾아야 한다. 모든 것을 빼앗긴 소년의 처절한 모험
자세히보기
게이머
박서진
UI UX 만족감이 매우 높습니다 몰입력 있는 스토리텔링 후반부가 더욱 기대되어 엔딩까지 달리려고 했으나 아쉽게도 저는 게임 컨트롤이 그닥... 이기에 닭유령 부분에서 여러번 시도 후 포기하였습니다 스테이지(액션)부분과 스토리 사이의 간격이 매우 적절한 것 같습니다
게이머
권병욱
흑백의 아트 디자인이 수려하다. 전체적으로 어두운 느낌이 게임을 감싸고 있으며, 이어지는 스토리가 흥미를 이끈다. 각 장을 지나가며 하나씩 하나씩 게임을 학습시키는 방식도 큰 불편함 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수준이었지만, 전투의 난이도가 그리 평이하진 않다는 점, 제대로 된 전투 이전에는 잘못하면 지루할 수 있다는 점이 조금 아쉽다.
게이머
한안
스토리와 전투 스타일이 잘 어울리는 게임입니다. 아픔을 가진 소년이 아픔을 마주하는 듯한 전투가 인상 깊었습니다. 전투 중이나 대사 중에 화면이 흔들리는 연출이 많아 조금 눈이 피로했습니다. 설정에서 카메라 움직임을 끌 수 있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게이머
이은경
아트 스타일이나 게임 브금 및 분위기는 상당히 탁월하나, 튜토리얼쪽 보스부분 난이도 조정이 조금 필요해 보입니다. 게임 자체는 정말 재밌다고 생각해요!!
게이머
이수용
조건을 완수하며 진행하는 스테이지형 퍼즐 액션게임. 주인공의 감정이 게임 전체를 아트 디자인을 말해주는 느낌이라 좋네요. '시야' 자원을 소모하면서 또 전부 소모하지 않도록 하는 아슬아슬함이 스릴있었습니다. 다만 첫 번째 보스가 대부분 유도 공격이나 화면 전체 공격을 하는데 한 번 피격하면 시야가 빈사상태까지 떨어져 다음 패턴이 거의 보이지 않아 대처가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라 '초반 치고는 난이도가 조금 높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게이머
신윤우
흑백의 분위기 조금씩 풀리는 스토리 유령이 쫓아오는 공포가 특징입니다 탈출같으면서도 압박감이느껴지는 퍼즐게임 스테이지는 조금 단조로운 감이 느껴지지만 스토리 위주로 보시는 분들이라면 큰상관은 없을것같습니다 스토리와 분위기를 중시하는 분들께 추천
게이머
김덕진
흑백연출로 어둡고 음산한 느낌을 내기에 충분한 게임! 그러나 스토리 하나로만 승부를 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난이도, 단조로움, 이펙트 등등 조금 더 난이도 조절과 새로운 뭔가가 필요해 보입니다.
게이머
이창민
- 흑백의 아트 디자인으로 미스테리한 분위기를 잘 표현했다고 생각합니다. - 상자를 피격했는데 부셔지는 연출이 없어서 이질감이 들었습니다. - 왜 이걸 해야하는가에 대한 목적성을 스토리로 풀어나갔으나 레벨디자인 설계의 의도가 잘 보이지 않았습니다.
게이머
이찬희
어둑어둑한 퍼즐 어드벤쳐 게임입니다. 플레이어에게 지속적으로 불안감을 조성이라도 하듯 거의 모든 색이 흑백으로 칠해져있고, 대부분의 행동을 하면 시야가 점점 좁아집니다. 스테이지를 몇 개 넘어갈 때 마다 이야기를 하나씩 툭 툭 던져줘서 헨젤이 떨어뜨린 빵조각을 죄다 주워먹은 새가 된 느낌이었습니다. 하지만 퍼즐의 깊이가 그렇게 깊진 않고, 퍼즐의 레이아웃이 전부 왼쪽-오른쪽 밖에 없어서 크게 다르지 않은 느낌의 퍼즐을 반복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 개인적인 욕심이긴 하지만... 보스 전투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구요. 보스에 대한 설명이 너무 친절해서 이미 공략이 끝난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게이머
이주형
약점찌르기가 그런 약점 찌르기 일줄이야... 이게임이 짜증나게 된다면 그건 주인공이 공황장애가 너무 빠르게 일어나서 대응하기 힘든겁니다. 요구하는 점수를 맞추고 슥슥 비비면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는데 이야기가 점점 재밋어지네요.
game-img
game-img
  • PC
A Space for the Unbound
Toge Productions
인도네시아 시골 풍경을 픽셀 아트를 통해 한 폭의 아름다운 인생으로 담아낸 어드벤처 게임.
자세히보기
게이머
이찬희
작년에 BIC에 왔던 게임이고, BIC에서 플레이하기 전에 이미 관심있게 보고 구매해서 플레이 한 게임에다가 스토리게임이다보니 크게 다른 내용을 작성할 수는 없겠습니다. 하지만 만약 데모를 플레이해보셨는데 "꽤 괜찮은데?" 라고 생각이 드신다면 구매해서 전체 스토리를 즐겨보는 것을 강력하게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또 "시덥잖은 고등학생 사랑 이야기야?" 라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는데, 전혀 아닙니다. 성장의 고통, 상처와 치유에 대한 이야기이고, 스토리, 사운드트랙, 그래픽 어느 한 곳도 모자람이 없는 게임이었습니다. 제가 느낀 마음의 따뜻함을 여러분들도 느껴보셨으면 좋겠어요!
게이머
김창엽
[ 퍼즐 어드벤처 ] [ 총평 ■■■■■ ] * '심층 다이브' 라는 초능력을 가진 주인공 아트마의 시점에서 벌어지는 어드벤처 게임 * 도트는 간결하지만 배경에 대한 묘사가 뛰어나며 게임 속 일상에 녹아드는 느낌이라서 몰입감이 좋음 * 마음 속 이면을 살펴볼 수 있는 스토리텔링이 재밌음. 짧은 진행으로도 충분히 다음 이야기를 궁금하게 만듬
게이머
쿠라그
짧은 프롤로그인데도 스토리가 무척 흥미로웠고 재밌었습니다.
게이머
한정혁
무겁고 어두운 내용을 다루면서도 성장과 치유를 표현하는, 감성적으로 풍부한 게임입니다. 90년대 인도네시아 풍경과 문화의 간접 체험 또한 인디 게임이 가지는 장점이 잘 드러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게이머
이지윤
아름다운 도트 그래픽과 배경 음악이 어우러진 훌륭한 스토리 게임입니다. 여름에 에어컨 빵빵하게 틀어놓고 즐기기좋은 청춘 스토리.
게이머
한안
템포가 느리지만 아름다운 도트 그래픽과 음악을 감상하며 스토리를 진행하기 좋은 게임입니다. 중간에 스토리와 잘 어울리는 미니게임들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미니게임을 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게이머
김보석
스토리를 좋아하고, 도트그래픽을 좋아하며, 따뜻하고 섬세한 게임을 좋아한다면 이 게임은 당신의 인생 게임이 될 수도 있다. 인도네시아의 문화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는 점 또한 이 게임의 큰 매력
게이머
박형락
인디 게임만이 할 수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어떤 방식으로든 뒤흔드는 요소를 대표하고 BIC라는 인디게임에서 진지함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몇 안되는 대표적인 레전드 인디 게임입니다. 유사한 인디 게임으로는 반교, 발리언트 하츠, 디스 워 오브 마인이 있습니다. 위 3개의 게임은 전세계적으로 아픔과 슬픔을 공감한 게임이고요~ 한국에서는 앞으로 출시할 30일 영문 스팀버전이 과연 타국 유저들에게 한국 특유의 고시원 및 사회 문제를 어필 할 수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이 게임은 인도네시아 청소년이 가진 청소년 문제와 상상 그리고 학교 문화(음식, 음악, 추성적인 표현)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풍경 역시 전세계 유저들의 호기심을 자극한 것으로 압니다. 다만, 빠르지 않은 게임 전개와 세세한 인도네시아의 느낌(고양이, 영화, 카페, 길거리 음식점 등등)을 느끼지 못하면, 왜 인기가 많은거지? 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게이머
인티
이미 스팀에서 정식으로 판매까지 하고 있는 게임으로 알고 있습니다. BIC에서 나오는 수많은 인디게임들이 한 수 아래라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돈을 받고 판매를 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이 되었다고 봐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있고, 물론 이 게임은 하나의 작품이 맞습니다.
게이머
박서진
고퀄리티의 도트와 힐링되는 브금이 특히나 인상 깊었습니다 앞으로의 둘이 이야기가 더욱 기대되는 스토리였습니다
game-img
game-img
  • PC
Color Lim
마일스톤 게임즈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진 세계에 닥친 어둠을 헤쳐나가는 2D 플랫포머 어드벤쳐 게임입니다!
자세히보기
게이머
김창엽
[ 퍼즐 액션 플랫포머 ] [ 총평 ■■■□□ ] * 슬라임을 조작하는 플레이어가 슬라임의 색을 바꿔가며 퍼즐과 액션을 오가는 게임 * 오디오가 비어있어 조작감이나 타격감은 느끼기 어려우며 스토리에 별다른 연출이 없다보니 무미건조한 느낌임 * 각 액션들의 기반은 잘 마련되어 있다고 느낌. 다만 색을 바꿔가는 핵심 컨셉을 조금 더 강화하면 좋을 것 같음
게이머
쿠라그
재밌게 잘 즐겼습니다 캐릭터 디자인이 귀여워서 좋았습니다.
게이머
장혁준
많은 것이 바뀌고 많은 것이 추가되었지만 게임이 전달하고 싶은 주된 재미를 모르겠습니다. 작년 bic에서 보여줬던 게임은 아쉬웠던 점이 있지만 분명히 이 게임만의 재미가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잘 만든 게임'을 만드시는 것보다 인디게임만의 '재밌는 게임'은 무엇인가, 본인의 방향성은 무엇인가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게이머
인티
인디게임 관련 행사에 꽤나 자주 얼굴을 보이는 게임입니다. 매년 큰 변화점을 주는 게임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번에는 스토리와 배경쪽에 좀 큰 변화를 준게 아닌가 싶네요. 우선 초반부에는 우클릭 대시가 가능한데, 버그인지 의도한건지 어느정도 진행하다보면 오히려 우클릭 대시가 불가능해집니다. 오히려 있다가 없어지니까 불편함을 크게 느끼게 되네요.
게이머
이찬희
여러가지 색이 필요한 이유가 여전히 납득되지 않습니다. 같은 색의 오브젝트에는 영향을 받지 않고, 다른 색의 오브젝트에만 영향을 받게 되는데 3개 이상의 색이 필요한 이유를 느끼지 못하겠습니다. 게임 내의 모든 오브젝트가 파란색 혹은 빨간색으로 대체되더라도 완전히 같은 게임이지 않을까 라는 이야기입니다. 각 색깔만 할 수 있는 특색있는 액션이 있었으면 하지만, (데모 플레이에선)그렇지 않아 아쉽습니다. 마우스 스크롤로 색을 교체하는데 훗날 복잡한 컨트롤을 요하는 플랫포밍을 해야할 때 자칫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됩니다. 그래도 새로운 색을 얻기 위해서 적을 처리해야한다거나, 적에게 빙의해서 그 적의 액션을 사용할 수 있는 점은 인상깊었습니다.
game-img
game-img
  • PC
  • MOBILE
냥냥스타
더브릭스게임즈
사회초년생 '우리', 우연히 고양이를 부탁 받으면서 갑작스런 펫플루언서로의 삶이 시작된다.
자세히보기
게이머
권병욱
만화 컷신처럼 이어지는 스토리, 단순하지만 캐주얼한 미니 게임, 적절하게 어우러진 하우징 시스템. 단순한 방치형 게임처럼 보이지만, 미니 게임의 존재로 정말 힐링할 수 있는 캐주얼 게임으로 변모한다. 힐링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학습이 적어야 한다는 점인데, 초반의 단순한 튜토리얼만으로도 충분히 게임을 즐길 수 있을 정도로 게이머를 편안하게 학습시킨다는 점, 그리고 미니 게임이 그리 어렵지 않고, 또 그리 쉽지 않다는 점이 마음에 든다.
게이머
김상민
더브릭스게임즈는 30일 어나더를 개발한 게임사입니다. 그만큼 소셜임팩트를 생각 하는 게임사로 이번 작품에서도 반려묘 인식 개선을 담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작품이었습니다. 모바일을 넘어서 PC 버전까지 발매를 다양하게 하길 기대 하는 작품입니다.
게이머
쿠라그
게임 너무 아기자기 하고 귀엽네요 너무 좋습니다 고양이도 너무 귀엽고 스토리도 재밌어요
게이머
이수용
이사한 집에서 유기된 고양이를 만나고 임시보호하는 스토리를 병합(머지)게임 장르로 만들어낸 게임. 임시보호가 주 스토리이니 만큼 고양이 관련 정보도 제공해준다. 모바일 게임에서 주로 잘 보이는 장르이니 만큼 깔끔하고 캐주얼하다. 기본기는 충실한 느낌이지만 그 외로 냥냥스타만의 무언가가 있으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게이머
김민경
게임이 귀엽고 고양이가 재밌어요 머지를 통해 아이템을 모아 임시보호 중인 고양이의 보금자리를 꾸미고 냥스타그램에 '우리 고양이가 이렇게 귀엽다 인간들아 감탄해라!'라는 의도인가 싶을 정도로 잘찍은 사진들을 올려 온 세상에 고양이가 생각보다 귀엽고 무해한 친구임을 강요없이 충분히 잘 전달하는 작품입니다. 고양이와 함께한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더 재미있게 즐길 요소가 많습니다. 개발사의 전작을 연상케하는 이스터에그도 제법 있어서 이 회사의 전작을 플레이해보신 분이라면 더욱 반가울 것 같습니다!
게이머
김창엽
[ 머지 퍼즐 ] [ 총평 ■■■■□ ] * 고양이 키우기와 하우징을 소재로 하는 무난한 머지 퍼즐 게임 * 이 게임만의 무언가는 없지만 게임 소재에 맞게 아기자기한 감성을 잘 살렸음 * 조작 반응 속도나 퍼즐 힌트 등 꼼꼼한 부분은 약간 아쉬운 편
게이머
최소영
귀여운 일러스트와 분위기(BGM), 그래픽으로 플레이 내내 너무 즐거웠습니다... 빨리 정식출시 됐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게이머
신해슬린
머지 게임 방식을 처음 접하는 유저를 위해, 초반에 간단한 튜토리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털실에 막힌 아이템도 머지가 가능하다는 것, 박스는 주변의 아이템을 머지하면 열린다는 것 정도도 인지하지 못하는 초보 유저가 있을 것 같아요. 저는 머지 게임을 해본 적이 있는데도, 새로운 아이템 상자(사료/물 등)을 활성화하려면 왼쪽 위에 뜬 아이콘을 직접 터치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해서 많이 헤맸습니다 T.T
게이머
김태윤
단순한 클리커 방치형 게임이 아닌가? 라는 생각으로 게임을 실행했지만 다행히도 아니었네요. 퍼즐을 풀어가면서 수집요소를 채우고, 대부분의 게임 플레이로 수집 요소를 채우는데에 문제가 없었 던 것 같아서 혜자로운(?) 게임이라 생각해요
게이머
이창민
-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그림이 게임을 돋보이게 만들었습니다. - 머지 시스템으로 점차 방이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 인상깊었습니다. - 머지를 하다가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조금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부분을 잘 다듬으면 재미있는 게임이 될것 같습니다.
game-img
game-img
  • PC
베일드 엣지
오뉴월 스튜디오
베일드 엣지는 사이버펑크 도트 액션 플랫포머로 가상과 현실을 오가며 진행 하는게 특징입니다
자세히보기
게이머
김창엽
[ 액션 플랫포머 ] [ 총평 ■■□□□ ] * 텔레포트를 이용한 플랫포머 액션을 선보이는 사이버펑크 비주얼의 게임. 기분 탓인지는 모르겠으나 게임 비주얼, 아트워크, 주인공과 조력자의 성향 등등이 산나비의 영향을 받은 것 같음. * 전투 중 오디오가 비거나 낮게 출력되는 부분들이 있어 액션임에도 타격감이 느껴지지 않아 아쉬웠음 * 텔레포트를 활용하여 전투를 하거나 퍼즐 풀이를 하는 파트가 적어 게임의 특징이 잘 드러나지 않은 것이 아쉬웠음
게이머
김덕진
비슷한 느낌의 기존 작품들이 생각나는 게임이지만 비슷한 맛이라도 역시나 맛있는 작품이라 좋았습니다 움직일때 무빙 연출이나 특색있는 모션은 굿
닫기
youtube 바로가기
위로올락기
공유하기
닫기
현재 회원님은 인터넷 익스플로러(IE) 10.0 이하 버전을 사용 중에 있습니다.
IE를 업데이트 하거나, 크롬, 웨일, 엣지 등의 최신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닫기